컴퓨터를 재부팅할 때마다 한글 입력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면 부팅과 동시에 ctfmon.exe가 자동으로 켜질 수 있도록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문제는 자동실행을 위한 세팅을 해주는 절차를 모르겠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번에 제가 부팅과 동시에 자동으로 ctfmon.exe가 켜질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엮었으니 혹시 찾고 있었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ctfmon.exe의 세팅을 변경하려면 일단은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켜야 하는데 키보드의 좌측 하단에 있는 시작 버튼과 'R'을 동시에 누르고 'regedit'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르면 됩니다. 이어서 HKEY_CURRENT_USER,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n, Run을 순서대로 진입합니..
마이크로소프트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은 기본 세팅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엔터를 누를 때마다 화살표가 나오는데 단락이 이동하는 곳을 알려주는 좋은 기능이지만 엔터표시가 문서의 내용을 파악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죠? 그래서 워드를 쓰시는 분들의 경우 해당 화살표를 빼는 것에 대해 찾아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 구체적인 절차를 엮었으니 필요하다면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가장 먼저 해주어야 할 것은 워드에서 좌측 상단에 있는 파일을 누른 후 옵션을 클릭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좌측에서 시라 적힌 탭을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단락 기호에 체크를 해제하면 워드 엔터표시는 사라지게 됩니다. 화살표를 빼는 절차는 엄청 간단하죠? 그래도 혹시 빼는 것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아래 엔터표시가 사라지도..
컴퓨터로 여러 자료를 취급하다 보면 낯선 포맷과 마주치게 되면서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면 뷰어만 준비를 하면 됩니다. 물론 psd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도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하기만 하면 되죠. 문제는 관련 소프트웨어의 종류와 다운로드를 하는 방법인데 이번에 해당 내용을 엮어서 정리했으니 참고를 하지만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포맷을 무난히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뷰어가 있지만 저는 가볍고 빠르다는 것이 좋아서 'irfan view'를 설치할 것을 추천합니다. 다운로드는 공식 홈페이지인 'irfanview.com'를 찾아간 후 좌측의 다운로드 카테고리를 누르고 아무런 항목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리고 psd 뷰어 설치 방법은 보통의 프로그램과 동일하니 딱히..